청소년의 뒤를 따라 미래로 향하는 성장의 길을 걷습니다.

청소년이여 정상에 선 모습을 그려라

  • 작성일 2014-03-10 18:18:53
  • 조회 579
  • 첨부파일

[한국SGI 칼럼] 청소년이여 정상에 선 모습을 그려라 

 

 

 

미국 록키산의 수목한계선은 해발 3,000미터 부근이다. 매서운 바람으로 인하여 몇 안되는 나무들만이 낮게 땅에 붙어 자라는데 공명이 잘 되는 세계적인 명품 바이올린은 수목 한계선에서 자란 이런 나무들로 만들어진다.세네카의 말처럼 정상으로 가는 길은 거칠고 험하지만 수목 한계선의 나무들처럼 세상의 가장 낮은 곳에서 온갖 고생과 아픔을 견디며 몸을 낮추고 인내하며 살아온 사람들만이 아름다운 영혼의 선율을 낼 수 있는 것이다.오늘 우리가 낮은 곳에 있다면 올라갈 수 있는 정상이 있어 행복한 것이고, 지금 우리가 가진 것이 없다면 채울 수 있다는 강렬한 희망으로 가슴이 뛰어야 한다. 

 

정상에 오르려면 정상에 오른 자신의 모습을 미리 그려 보며 생생하게 꿈을 꾸어야 한다. 피카소와 반 고흐는 비슷한 재능을 가진 동시대의 화가였으나 피카소는 30대에 이미 백만장자가 된 세계적인 화가로 정상에섰다.그러나 반 고흐는 죽을때까지고 가난하고 우울한 삶에서 벗어나지 못했다.이 둘의 차이는 무엇인가? 어떤 의미에서 반고흐는 피카소보다 더 위대한 재능을 가진 화가였다고 한다. 피카소도 반 고흐처럼 무명의 시절이 있었으나 그는 항상 정상에 우뚝 선 자신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렸다. 그러나 반 고흐는 가난과 질병 속에 살다가 쓸쓸하게 사라지는 자신의 모습을 그려왔었다. 동일한 재능을 지녔던 두 사람의 인생은 두 사람의 마음속 그림대로 전개되었다.    

  

호텡왕 콘다르 힐튼은 말한다. "흔히 사람들은 재능과 노력이 성공을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나는 성공을 불러들이는 것은 생생하게 꿈을 꾸는 능력이라고 믿는다. 내가 호텔 벨보이 시절 내 주위에는 나와 같은 벨보이들이 많았으며, 호텔을 경영하는 재능이 나보다 뛰어난 사람들은 더 많았으며, 나보다 더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 역시 많이 있었지만 그러나 성공한 자신의 생생한 모습을 그렸던 사람은 오직 나 하나뿐이었다. 성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꿈을 꾸는 재능이다." 공부를 잘하는 수재는 수업시간에 선생님의 설명을 듣는 즉시 이해하고 암기하는 자신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린다.  교과서와 참고서를 한 번 읽으면 그 내용을 완벽하게 기억하는 자신의 모습을 그려본다.  학교에서 시험마다 성적이 수직 상승하여 마침내 전교 수석이 되는 꿈을 꾸는 학생이라고 한다. 정상에 오르기 위해서는 한단계 한단계 꾸준히 올라가야 한다. 양사언은 태산이 높다지만 하늘 아래 있으며,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산이 없다고 하였다. 정상이 높다하지만 한발 한발 단계를 밟아 오르면 마침내 이를 수 있다는 말이다. 

 

주방기구 판매원으로 첫발을 내 디딘 후 최고의 세일즈맨이 된 지그 지글러는 "정상에서 만납시다"에서 건전한 자기 이미지를 갖는 첫 단계에서 불타는 욕망을 갖는 여섯 단계 까지의 정상으로 가는 단계를 설명하고 있다. 오아시스를 찾기 위해서는 막막한 사막을 건너야 하며 높은 산의 정상을 오르려면 험한 골짜기를 지나야 하듯이 정상에 이르려면 쉬지 않는 꾸준함이 있어야 한다.

 

베토벤은 말했다. "낙숫물이 바위를 뚫는 것은 힘이 강해서가 아니라 쉬지 않고 떨어지기 때문이다. 천재와 노력을 구분하는 기준은 분명하지 않지만 귾임없이 노력하는 자는 기필코 정상에 이르게 될 것이다." 정상에 이르기 위해서는 불타는 열정이 있어야 한다. 모든 사람들이 성공의 계단을 오르지만 또한 많은 사람들이 정상에 서지 못하는 것은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열정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열정이 없거나 모자라면 도중에 조그만 시련이나 실패에도 쉽게 포기한다. 

 

성공은 평범한 보통사람들이 내린 비상한 결단에 의해 이뤄지는 결과라고 한다. 그러나 성공은 목표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이를 이루고자 하는 불타는 열정을 가진 자만이 이룰 수 있다. 열정은 확신을 낳고 평범한 사람을 뛰어난 사람으로 만들어 준다. 불광불급이란 "미치지 않으면 이를 수 없다"는 뜻으로 미 친 듯한 열정이 없으면 성취는 불가능하다는 말이다. 철강왕 앤드류 카네기도 "자기 일에 미치지 않은 사람이 성공한 예를 나는 본적이 없다"는 말을 남겼다.  

 

정상의 꿈이 있는 청소년은 열정이 있어야 하고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몰입해야 한다. 누구나 노벨상을 타지는 못할 것이며 해당 분야의 극소수의 사람들만이 그런 상을 받을 것이다. 모든 청소년들은 이론적으로는 대통령이 될 수 있는 기회가 있지만 같은 시대의 단 몇명밖에는 대통령이 될 수 없다. 그러나 정상이란 반드시 노벨상 수상자나 대통령이 되는 것만은 아니다. 세상은 넓고 할일은 많으며 사람마다 그릇이 다르고 재능이 다르다. 정상이란 그것이 어떤 일이건 간에 자신이 좋아하고 또한 인생을 걸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분야에서 일인자가 되는 것이다. 남들이 무어라 해도 스스로 선택한 분야의 정상을 향해 묵묵히 걸어가는 사람, 남처럼 사는 것이 아닌 내가 나처럼 소신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 이상과 신념을 이루기 위한 불타는 열정이 넘치는 청소년들을 많이 길러내는 나라는 미래가 있다. 

 

 

이배근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