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뒤를 따라 미래로 향하는 성장의 길을 걷습니다.

이혼가정의 50가지 자녀양육법

  • 작성일 2014-03-22 13:04:45
  • 조회 902
  • 첨부파일
 

“이혼할땐 자녀에게 먼저 알려라"

“서로 미워하면서 함께 사는 것보다는 헤어지는 게 아이들에게도 낫다.”는 말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그래서일까,2002년 한해동안 하루 400쌍이 이혼해 무려 14만 5300쌍이 이혼했다.그리고 10만명이 넘는 아이들이 이혼 가정의 자녀가 됐다.


부모의 이혼으로 시설에 맡겨지는 아이들이 많은 우리 현실에서 ‘이혼한 부모를 위한 50가지 자녀양육법’은 좀 낯설다.아직도 이혼가정을 ‘결손 가정’으로 분류하고 싶어하는 우리 사회에선 흡사 이혼을 장려하는 ‘불온 서적’ 쯤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이혼이 ‘최후 선택’이라면 ‘제대로 이혼하는 법’정도는 알아야 할 시대인지도 모른다.더욱이 ‘이혼만 하면 끝이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이혼 전·후를 어떻게 보냈느냐에 따라 이혼한 부모는 물론 아이들의 인생도 달라진다는 ‘이혼 선진국’의 충고는 귀담아야 할 소중한 것임이 분명하다.공동저자인 니콜러스 롱은 미국 아칸소 아동병원 교수이고 렉스 포어핸드는 미국 조지아 주립대 교수로 아동심리학의 대가이다.두사람은 이혼한 가정에 대한 프로그램을 50년간 만들어온 이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이다.


이들이 강조하는 50개의 메시지 가운데 중요한 것들을 뽑았다.


부모가 함께 이혼결정을 설명하라


저자는 부모들에게 “이혼은 아이들에게 스트레스를 많이 주는 일임을 인정하라.”고 충고한다.괴롭다는 이유로 부모들의 감정만 생각하지 말라는 것이다.“아이들은 부모가 더이상 함께 살지 않는 이혼 그 자체보다는 어떤 식으로 이혼하고,부모가 이혼 후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충격정도가 달라진다.”고 말한다.아이들에게 충격이 적도록 이혼하려면 먼저 아이에게 이혼결정을 알리라는 것이다.두 사람의 감정은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함께’ 아이에게 이혼결정을 밝히고 부부사이의 관계는 변해도 부모로서의 관계는 유지될 것임을 이해하게 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는 것이다.물론 아이에게 이야기하다 보면 서로 다른 뜻이 표출될 수 있기 때문에 자녀에게 어떻게 이야기할 지 미리 의논해두라고 한다.이와 관련,저자는 “게임의 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한다.이혼을 게임이라고 가볍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이혼 후 과정은 게임을 풀어가듯 지혜롭게 진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아이를 스파이로 이용하지 말라


부모의 이혼에 맞닥뜨린 아이는 궁금한 게 많다.누구와 어디서 살게되는가,나는 혼자 버려지는 것은 아닌가.더욱이 아이는 ‘이혼하는 이유는 전적으로 한쪽 부모에게 있다.’고 생각하고 ‘내가 잘못해서 엄마·아빠가 헤어진다.’거나 혹은 자신이 처한 상황을 받아들이기 어려워 ‘지금은 헤어지지만 언젠가는 다시 한 집에서 행복하게 살 것이다.’라는 이뤄질 수 없는 꿈을 갖고 있다.그러나 이런 잘못된 생각은 아이에게 상처만 키운다.


혼자만의 상상으로 괴롭워하지 않도록 이 책은 아이가 이혼에 대해,혹은 함께 살지않는 부모에 대해 마음껏 이야기할 수 있게 할 것을 권한다.또 아이 앞에서 더이상 싸우지 말고 전 배우자를 비난하지도 말 것이며,아이를 두 사람간의 ‘스파이’로 이용하지 말도록 경고하고 있다.실제로 이혼가정의 아이들 중 70%는 ‘볼모’로 잡혀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고,이는 아들보다 딸이 더 심하게 느낀다.


이혼 후 부부는 비즈니스 관계여야


아이들이 이혼이란 스트레스를 이겨나가게 하기 위해서는 ‘어렵지만’ 부모가 아이의 생일에 함께 모여서 행사를 갖거나 학교생활과 생활습관까지 함께 관심을 갖는 등 아이에게 배려할 것을 권하고 있다.이렇게 ‘멋지게’‘세련되게’헤어지는 것이 가당키나 한 일일까.그러나 이혼이 더이상 특별한,이상한 일이 아니라면 이에 대한 준비는 필요할 것같다.“이혼 후에는 비즈니스 관계를 유지하라”는 이 책은 이혼은 하지 않았으나 늘 부부싸움을 하는 부모들에게도 결혼생활과 자녀양육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준다.한나, 1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