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뒤를 따라 미래로 향하는 성장의 길을 걷습니다.
15세, 인생이 결정되는 시기
아동기에는 인격이 결정되고 열다섯 살 청소년기에는 인생이 결정된다.
열다섯 살은 부모에게만 의존했던 아이들이 독립적인 인격체로 어른이 될 준비를 하는 나이.
호르몬도 뇌도, 심리적구조도 역동적으로 바뀌는 격변의 시기
이 시기에 어떤 교육, 어떤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향후 30년의 인생이 달라진다.
학업과 성취, 연애와 결혼, 궁극적으로 삶의 질이 결정되는 청소년기
우리는 더 이상 그 시기를 놓칠 수 없다.
인생의 골든타임, <중2병> 현상 속에 버려지고 있다.
청소년기는 뇌에서 생애 2번째 가지치기가 일어나는 시기이다.
지금까지 익숙하게 사용해왔던 시냅스를 남기고, 필요 없는 시냅스는 제거하는 시기
때문에 이 시기를 전후하여 좋은 교육, 양육이 제공되면 뇌구조의 변화가 생긴다.
때문에 청소년전문가들은 이 시기를 “신이 주신 두 번째 양육의 시기” “인생의 골든타임”
이라고 부른다. 놓치면 위기가 되고, 잡으면 선물이 되는 시기다.
그러나 이 시기는 사회적으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버려지고 있다. 이른바 <중2병>
중학교 생활도 익숙해지고, 입시에서도 자유롭고, 학교에서도 부모에게도 어중간한 학년
반항심과 충동성은 이 허술한 시기에 더욱 더 폭발한다, 그것이 <중2병>이다
인생의 골든타임을 우리는 무기력하게도 <중2병>이라는 이름으로 명명하며
버려버리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중학생 인성 수준 미달 45.6%
2013년 9월, 경희대학교 연구팀과 중앙일보가 설문을 통해
16개 시·도 중학생 2171명의 인성지수를 심층 조사했다.
인성이 괜찮은 학생은 21.3% 정도, 그 두 배에 이르는 45.6%의 학생은 인성이 미흡한 수준으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인성’이 위태롭다.
학교폭력이 가장 많고 청소년 가출 빈도가 가장 높은 때가 바로 중학생 시기지만,
기초교육 중심인 초등학교와 입시 위주의 고등학교 사이에서
주목 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 특히 중학교 2학년, 15세는 더 그렇다.
신이 주신 두 번째 시기를 잡아라.
버려진 15세를 위해 대한민국 공교육에서 시작된 최초의 인성수업!
생계유지에 바쁜 부모와의 소통 부재, 입시 위주의 교육 정책으로 인해
아이에서 어른으로 나아가는 길목에 선 15세는 불완전하게 성장하고 있다.
흔들리는 우리 사회에 절실한 것은 15세를 위한 진짜 교육!
일주일에 2시간, 서울 공진중학교 2학년 전교생과 함께
정규교과과정 안에서 1년간의 특별한 수업을 진행했다.
문화, 예술, 체육 위주로 한 몸으로 배우는 교육,
<자아>, <관계>, <이성>, <진로>에 관한 15세의 깊은 고찰과 성장을 담았다!
열다섯 살 학생들에게 주어진 1년이라는 시간,
우리가 미처 몰랐던 인생의 골든타임, 15세에 과연 어떤 변화가 일어날 것인가!
15세의 인생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우리나라 공교육에서 최초로 시도된 ‘15세 인생수업’, 그 1년이 시작된다.
1부. 왜 15세인가?
2부. 열다섯이 나를 묻다.
3부. 때론 친구, 때론따
4부, 사랑이 뭐예요?
5부, 꿈꿔도 좋아, 열다섯이니까.
출처 : EBS다큐프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