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뒤를 따라 미래로 향하는 성장의 길을 걷습니다.

코로나19 백신 1년에 한 번 접종으로 전환 2023년도 코로나19 백신접종 기본방향 발표

  • 작성일 2023-03-28 14:11:20
  • 조회 148
  • 첨부파일
코로나19 백신 1년에 한 번 접종으로 전환 2023년도 코로나19 백신접종 기본방향 발표 2023.3.22.
2023년 코로나19 백신접종 기본방향 (접종 횟수) 연 1회(단, 면역저하자는 연 2회 접종*) (접종 대상) 모든 국민(고위험군 적극 권고) 65세 이상,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면역저하자·기저질환자 등 (접종 시기) 10~11월 중 (접종 백신) 개발동향·유행변이·효과 등을 고려해 결정 (접종 비용) 무료 ※ 면역저하자는 접종을 통한 면역 형성 어렵고, 항체의 지속기간도 짧아, 예외적으로 연 2회 접종 시행(세부계획 추후 발표예정)
코로나19 백신접종, 연 1회 접종으로 전환하는 이유 ➀ ➀ 현재 안정적인 방역상황 23년 3월 코로나19 환자와 사망자 수는 22년 7월 이후 최저를 기록했으며, 전 세계적으로도 감소하는 추세
코로나19 예방접종, 연 1회 접종으로 전환하는 이유 ➁ ➁ 전 국민의 높은 면역수준 우리나라 국민의 약 70%가 코로나19에 대한 면역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
코로나19 예방접종, 연 1회 접종으로 전환하는 이유 ➂ ➂ 중증 사망 예방효과와 항체 지속기간 접종과 감염으로 획득한 복합면역(hybrid immunity)은 중증 사망 예방효과를 장기간 제공하며 높은 수준의 항체를 10개월 이상 유지
코로나19 예방접종, 연 1회 접종으로 전환하는 이유 ④ ④ 재감염 되는 기간도 점차 증가 두번째 감염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약 10개월(23년 2월 기준)
2023년 해외의 접종계획(일본) (일본) 코로나19 접종을 매년 1회 이상 연례접종으로 전환*, 백신의 지속기간 등을 고려해 65세 이상 고령층과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5월8일부터 접종 예정** * 코로나19 유행의 계절성이 명확하지는 않으나, 연말연시에 사망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고려, 중증·사망을 줄이기 위한 공중보건학적 판단에 따름 ** 건강한 어린이 및 일반 성인들의 백신 접종은 중지하며, 연말연시 감염 확산에 대비해 9-12월 접종 재개
2023년 해외의 접종계획(일본) (일본) 코로나19 접종을 매년 1회 이상 연례접종으로 전환*, 백신의 지속기간 등을 고려해 65세 이상 고령층과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5월8일부터 접종 예정** * 코로나19 유행의 계절성이 명확하지는 않으나, 연말연시에 사망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고려, 중증·사망을 줄이기 위한 공중보건학적 판단에 따름 ** 건강한 어린이 및 일반 성인들의 백신 접종은 중지하며, 연말연시 감염 확산에 대비해 9-12월 접종 재개
고위험군의 중증 사망 예방을 위해 독감 접종처럼 코로나19 백신도 연 1회(10월~11월 중)로 전환됩니다